SMALL 분류 전체보기78 C ) NOT 연산자 #include int main() { printf("%d\n", !1); // 0: NOT 1은 거짓 printf("%d\n", !0); // 1: NOT 0은 참 printf("%d\n", !3); // 1: NOT 3은 거짓 return 0; } NOt 연산자는 값, 변수, 함수 앞에 !를 붙여서 사용한다. !는 참은 거짓으로 , 거짓은 참으로 논리값을 뒤집는다. 따라서 0은 1로, 1은 0이 된다. 그리고 C언어에서는 0이 아닌 모든 값이 참이므로 !3의 결과는 0이된다. 2022. 8. 4. C ) OR 연산자 #include int main() { printf("%d\n", 1 || 1); // 1: 1 OR 1은 참 printf("%d\n", 1 || 0); // 1: 1 OR 0은 참 printf("%d\n", 0 || 1); // 1: 0 OR 1은 참 printf("%d\n", 0 || 0); // 0: 0 OR 0은 거칫 printf("%d\n", 2 || 3); // 1: 2 and 3은 참 return 0; } || 는 두 값 중 하나만 참이라도 결과가 참이 나옵니다. 따라서 1 || 1, 1 || 0 , 0 || 1 모두 참이고 0 || 0 만 거짓입니다. 그리고 c 언어에서는 0이 아닌 모든 값이 참이므로 2 || 3 또한 참입니다. 2022. 8. 4. C ) AND 연산자 사용하기 #include int main() { printf("%d\n", 1 && 1); // 1: 1 AND 1은 참 printf("%d\n", 1 && 0); // 0: 거짓 printf("%d\n", 0 && 1); // 0: 거짓 printf("%d\n", 0 && 0); // 0: 거짓 printf("%d\n", 2 && 3); // 1: 2 and 3은 참 return 0; } &&는 두 갑싱 모두 참이라야 결고가 참이 나옵니다. 따라서 1 && 1먼 첨이고 나머지는 모두 거짓입니다. 그리고 C언어에서는 0이 아닌 모든 값이 참이므로 2 && 3도 참이며 결과는 1이 출력이됩니다. 2022. 8. 4. C ) ? : 를 사용한 함수 안에서 삼항 연산자 사용 #include int main(){ int num1 = 5; //함수 안에서 삼항 연산자 사용 printf("%s\n",num1 == 10 ? "10입니다." : "10이 아닙니다.") ; return 0 ; } 2022. 8. 2. 이전 1 2 3 4 5 ··· 20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