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bigdata16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수립 -빅데이터는 데이터의 크기로 그 의미의 절대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쏟아지는 비정형-반정형의 데이터는 조직이나 프로젝트 단위의 데이터 관리 체계로는 솔루션이 될 수 없고, 전사 차원의 체계적인 데이터 거버넌스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데이터 거버넌스란 전사 차원의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정책 및 지침, 표준화, 운영조직 및 책임 등의 표준화된 관리 체계를 수립하고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저장소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마스터 데이터, 메타 데이터, 데이터 사전은 데이터 거버넌스의 중요한 관리 대상이다. - 데이터 거버넌스는 독자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전사차원의 IT 거버넌스나 EA(Enterprise Architecture)의 구성요소로 구축되는 경우도 있다. ** 빅데이터 거.. 2022. 2. 5. 분석 거버넌스 체계 수립 > - 거버넌스(Governance)는 정부라는 의미의 Government와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는 단어이다. Government보다는 더 폭넓은 의미로 진화하여 기업, 비영리 기관 등에서 규칙, 규범 및 행동이 구조화되고, 유지되고 규제되고 책임을 지는 방식 및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분석 거버넌스는 기업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관리되고, 유지되고, 규제되는지에 대한 내부적인 관리 방식이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데이터 거버넌스는 데이터의 품질보장,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수명관리, 전담 조직과 규정정립, 데이터 소유권과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데이터 거버넌스가 확립되지 못하면 개인 프라이버시 관련 데이터로 인해 '빅브라더'의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 빅브라더 : 정보의 독점으로 사회를 .. 2022. 2. 3. 분석 마스터플랜 수립 -분석 마스터플랜은 분석 대상이 디는 과제를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평가하여 단기적인 세부 이행계획과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작성해야 한다. -또한 분석 로드맵 상의 과제들이 잘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분석 거버넌스 체계수립이 필수적이며, 분석 역량을 옾이기 위하여 현재 분석 수준이 어떤지를 살펴보는 분석 성숙도 측정이 필요하다. -마지막 분석 거버넌스의 체계의 주요 구성요소인 인프라, 데이터, 조직 및 인력, 관리 프로세스, 교육 빛 변화관리에 대한 방안도 수립해야 한다. -중, 장기적 관점의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해서는 분석 과제를 대상으로 전략적 중요도, 비즈니스 성과 및ROI(투자회수율) 분석 과제의 실행 용이성 등 다양한 기준을 고려해 적용할 우선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분석을 업무에 내재화할 .. 2022. 1. 29. 분석 프로젝트 관리 방안 -과제 형태로 도출된 분석 기회 프로젝트를 통해서 그 가치를 증명하고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분석 프로젝트는 다른 프로젝트 유형처럼 범위, 일정, 품질, 리스크, 의사소통 등 영역별 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며 다양한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 기법을 적용하는 특성 때문에 아래 표와 같이 5가지 속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영역 내용 Data Size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을 고려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하둡 환경에서 엄청난 데이터양을 기반으로 분석하는 것과 기존 정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시간당 생성되는 데이터를 분석할 때의 관리방식은 차리날 수밖에 없다. Data Complexity BI 프로젝트처럼 정형 데이터가 분석 마트로 구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분석하는 것과 달리 텍스트, 오디오,.. 2022. 1. 28. 이전 1 2 3 4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