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IT22 JS ) 복합 대입 연산자 변수 list를 빈 문자열(' ')로 초기화한 후 += 복합 대입 연산자로 문자열을 만들고 HTML 문서의 body 태그에 넣습니다. 이를 실행하면 아래의 화면 처럼 출력이 됩니다.~~ 2022. 8. 4. C ) if 조건문과 논리 연산자 사용하기 #include int main() { int num1 = 1; int num2 = 0; if(num1 && num2) { printf("참\n"); }else{ printf("거짓\n"); } if(num1 || num2) { printf("참\n"); }else{ printf("거짓\n") ; } if(!num1){ printf("참\n") ; }else{ printf("거짓\n"); } return 0; } 2022. 8. 4. C ) 조건식과 논리 연산자 사용하기 #include int main() { int num1 = 20; int num2 = 10; int num3 = 30; int num4 = 15; printf("%d\n", num1 > num2 && num3 > num4); // 1: 양쪽 모두 참이므로 참 printf("%d\n", num1 > num2 && num3 num2 || num3 num2)); // 0: 참의 not 은 거짓 return 0; } 2022. 8. 4. C ) NOT 연산자 #include int main() { printf("%d\n", !1); // 0: NOT 1은 거짓 printf("%d\n", !0); // 1: NOT 0은 참 printf("%d\n", !3); // 1: NOT 3은 거짓 return 0; } NOt 연산자는 값, 변수, 함수 앞에 !를 붙여서 사용한다. !는 참은 거짓으로 , 거짓은 참으로 논리값을 뒤집는다. 따라서 0은 1로, 1은 0이 된다. 그리고 C언어에서는 0이 아닌 모든 값이 참이므로 !3의 결과는 0이된다. 2022. 8. 4. 이전 1 2 3 4 ··· 6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