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c언어의 기본 단위
- 함수를 만들고, 만들어진 함수의 실행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c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다.
**함수의 특성
- 입력과 출력이 존재한다.
** c언어의 함수와 관련된 용어
- 함수의 정의
>만들어진 함수, 실행이 가능한 함수
- 함수의 호출
>함수의 실행을 명령하는 행위
- 인자의 전달
> 함수의 실행을 명령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
<main 함수>
- c언어로 구현된 모든 프로그램은 main함수를 반드시 정의해야 함
<함수의 기능>
- 함수의 기능은 중괄호 안에 표현되며, 중괄호 안에 표현된 함수의 기능을 함수의 몸체(body)라고 함
<함수의 표기>
- 함수의 이름
> 함수를 호출할 때 사용하게 되는 이름
- 출력 형태
> 실행의 결과 반환형(return type)
- 입력 형태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의 형태
<세미콜론 (;)>
문장의 끝을 표현하기 위한 문자이다. 자바와 같다.
<소스 코드 분석>
<printf>
printf() 괄호 안에서 ""곁따홈표안에 출력하고 싶은 데이터타입을 넣어주면되는데 \n은 줄바꿈을 의미하여 쓴것이다.
한마디로 저 3개의 홍길동은 원해는 1문장이다 그걸 \n으로 분할 시켜준것이니 printf함수를 3번쓸 생각은 버려라.
<서식문자>
printf함수의 기본적인 이해 : 정수의 출력과 서식 문자.
-%d-
*문자열에 삽입된 %d를 가리켜 서식문자 라고 한다.
*서식 문자는 출력의 형태를 지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숫자
*%d는 부호가 있는 10진수 정수 형태로 출력하라는 의미다. 한마디로 정수를 출력할때 쓴다.실수는 안된다!!!!
*눈치빠른 사람은 챗겠지만 곁따흠표 안에 출력하고 싶은 정수 갯수 만큼의 %d를 넣어주고 (,) 이후 %d안에 출력하고싶은 정수를 넣어 주면 된다. 쏘 이지 하다!!!
-%n-
*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라고 불리며 개행의 용도로 사용된다.
'Program Languag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연산자 (0) | 2022.02.08 |
---|---|
비트, 바이트, 워드 (0) | 2022.01.03 |
컴퓨터를 위한 수학 (0) | 2022.01.03 |
printf 함수의 기본적인 활용! (0) | 2021.04.12 |
언어의 아버지 C언어 시작하기 (0) | 2021.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