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ta Science/Big_Data

분석 거버넌스 체계 수립

by 전테리 2022. 2. 3.
728x90
SMALL

<<< 거버넌스 체계 개용 >>>

- 거버넌스(Governance)는 정부라는 의미의 Government와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는 단어이다. Government보다는 더 폭넓은 의미로 진화하여 기업, 비영리 기관 등에서 규칙, 규범 및 행동이 구조화되고, 유지되고 규제되고 책임을 지는 방식 및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분석 거버넌스는 기업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관리되고, 유지되고, 규제되는지에 대한 내부적인 관리 방식이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데이터 거버넌스는 데이터의 품질보장,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수명관리, 전담 조직과 규정정립, 데이터 소유권과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데이터 거버넌스가 확립되지 못하면 개인 프라이버시 관련 데이터로 인해 '빅브라더'의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 빅브라더 : 정보의 독점으로 사회를 통제하는 권리 권력, 혹은 그러한 사회체계를 일컫는 말 **

 

 

<< 분석 거버넌스 체계 구성요소 >>

-마스터플랜 수립 시점에서 데이터 분석의 지속적인 적용과 확산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분석 기획 및 관리를 수행하는 조직(Organization), 과제 기획 및 운영프로세스(Process) , 분석관련 시스템(System), 데이터(Data), 분석관련 교육 및 마인드 육성 체계(Human Resource)로 구성된다.

 

 

<<데이터 분석 성숙도 모델 및 수준 진단>>

-이미 많은 기업에서 빅데이터는 화두가 되고 있으며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활용 하느냐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궁극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의 도입 여부와 활용에 대한 명확한 분석 수준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분석 수준 진단을 통해 데이터 분석 기반을 구현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하고 보완해야 하는지 등 분석의 유형 및 분석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분석 수준 진단 프레임워크

 

<<데이터 분석 준비도 프레임 워크>>

-분석분비도(Readiness)는 기업의 데이터 분석 도입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진단 방법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분석 업무, 인력 및 조직, 분석 기법, 분석 데이터, 분석 문화 IT인프라 등 총 6가지 영역을 대상으로 현 수준을 파악한다.

-진단 영역별로 세부 항목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고, 진단결과 전체 요건 중 일정 수준이상 충족하면 분석 업무를 도입하고, 충족하지 못하면 먼저 분석 환경을 조성한다.

<<분석 성숙도 모델>>

-분석 성숙도 진단은 비즈니스 부문, 조직-역량 부문, IT부문 등 3게 부문을 대상으로 성숙도 수준에 따라 도립단계, 활용단계, 확산단계 , 최적화 단계로 구분해 살펴볼 수 있다.

-소프트웨어공학에서는 시스템 개발 업무능력과 성숙도(Maturity)를 파악하기 위해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모델을 기반으로 조직의 성숙도를 평가한다.

-업무 프로세스 자체의 성숙도와 이러한 업무 프로세스 관리와  개선을 위한 조직의 역량을  CMMI에 기반한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으로 평가한다.

 

단계도입단계활용단계확산단계최적화단계

설명 분석을 시작해 환경과 시스템을 구축 분석 결과를 실제 업무에 적용 전사 차원에서 분석을 관리하고 공유 분석을 진화시켜서 혁신 및 성과 향상에 기여
비즈니스
부문
실적분석 및 통계 정기보고 수행 운영 데이터 기반 미래 결과 예측 시뮬레이션 운영 데이터 기반 전사 성과 실시간 분석 프로세스 혁신 3.0 분석규칙 관리 이벤트 관리 외부 환경분석 활용 최적화 업무 적용 실시간 분석 비즈니스 모델 진화
조직·역량
부문
일부 부서에서 수행 담당자 역량에 의존 전문 담당부서에서 수행 분석기법 도입 관리자가 분석 수행 전사 모든 부서 수행 분석 COE 조직 운영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확보 데이터 사이언스그룹 경영진 분석 활용 전략 연계
IT 부문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마트
ETL/EAI
OLAP
실시간 대시보드
통계분석 환경
빅데이터 관리 환경
시뮬레이션·최적화
비주얼 분석
분석 전용 서버
분석 협업환경 분석
Sandbox 프로세스
내재화 빅데이터 분석

 

<<분석 수준 진단 결과>>

-아래 그림 사분면 분석 같이 분석 관점에서 4가지 유형으로 분석 수준 진단 결과를 구분하여 향후 고려해야 하는 데이터 분석 수준에 대한 목표 방향을 저으이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라 개선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해당 기업의 분석 준비도와 성숙도 진단 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현재 분석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유관 업종 또는 경쟁사의 분석 수준과 비교하여 분석 경쟁력 확보 및 경화를 위한 목표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4가지 관점 유형

<준비형>

데이터 분석을 위한 낮은 준비도와 낮은 성숙도 수준에 있는 기업들이다. 해당 위치의 기업들은 분석을 위한 데이터, 조직 및 인력 , 분석업무, 분석 기법등이 적용되지 않음으로 인해 사전 준비가 필요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정착형>

준비도는 낮은 편이지만  조직, 인력, 분석업무, 분석기법 등을 기업 내부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도입형>

기업에서 활용하는 분석 업무 및 분석기법 등은 부족한 상태지만, 조직 및 인력등 준비도가 높은 유형으로 바로 데이터 분석을 바로 도입할 수 있는 기업이 여기에 속한다.

 

<확산형>

데이터 분석을 위해 기업에 필요한 6가지 분석 구성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으며, 현재 부분적으로 도입해 지속적인 확산이 가능한 기업이 이 유형에 속한다.

728x90
LIST

'Data Science > Big_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석 과제 관리 프로세스 수립  (0) 2022.02.05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수립  (0) 2022.02.05
분석 마스터플랜 수립  (0) 2022.01.29
분석 프로젝트 관리 방안  (0) 2022.01.28
상향식 접근 방식  (0) 2022.01.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