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developer2

OSI 7 Layers 네트워크는 무엇인가 1. 개요 (1). 데이터 통신 1) 프로토콜 a).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신뢰성 있게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 정보의 송/수신자 측 또는 네트 워크 내에서 사전에 약속된 규약 또는 규범이다. b). 주로 송신자측에서 수신자 측을 호출하여 연결하는 과정, 통신회선에서의 접속방식, 통신회선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형태, 오류 발생에 대한 제어, 송/수신자 측 간의 동기방식 등에 대한 약속을 포함하고 있다. a). 프로토콜은 무엇을 , 어떻게 그리고 언제 통신할 것인가를 규정한다.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는 구문과 의미 그리고 타이밍이다. b). 구문(syntax): 구문은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을 가리키며,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ex) 간단한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처음 8비트는 .. 2022. 6. 21.
Big Data 의 가치와 영향 } 빅 데이터의 가치 (빅데이터의 가치 산정이 어려운 이유) { 1. 데이터의 활용 방식 : 데이터의 재사용, 재조합(Mashup), 다목적용 데이터 개발 등이 일반화 되면서 특정 데이터를 언제 , 어디서, 누가 활용할지 알 수 없다. 재사용 사례: 구글 검색 결과를 저장 후 재사용한다. 다목적용 사례: 전기자동차의(배터리 충전시간& 주유소 최적위치), CCTV(절도범 & 구매정보) 재조합 사례 : 휴대전화 전자파와 뇌종양 관계 2. 데이터가 기존에 없던 가치 창출을 한다. 아마존 킨들 전자책 읽기 관련 데이터 분석을 하면 독서 패턴을 알 수 있다. 페이스북 소셜커머스 그래프 3. 분석 기술의 발달이 데이터에 가치에 영향을 준다. 기존에는 가치가 없는 데이터도 새로운 부석기법으로 가치를 만든다. SNS .. 2022. 1. 19.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