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보안27 네트워크 장비의 이해 네트워크 장비의 이해 개요 1. 랜카드는 단순히 PC 혹은 네트워크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2. PC에서 전송 요구가 발생하면 랜카드로 정보를 일정한 형태로 만들어 보내고 랜카드에서는 이 정보를 일단 버퍼에 저장한 다음 네트워크에 맞는 형태로 보낸다. 3. 여기서 PC와 랜카드 사이를 논리적으로 묶어주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한데, 이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 드라이버라고 한다. 개요 1. 허브(hub)는 오직 물리 계층에서만 동작하는 장치이다.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는 신호 감쇠가 데이터 무결성을 훼손하기 전까지 고정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2. 리피터(repeater)는 신호가 너무 약하거나 훼손되기 전에 신호를 수신하여.. 2022. 6. 25. FTP 보안 완전개념 파일 관련 프로토콜 [ 개요. ] 1.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은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파일을 복사하기 위해 TCP/IP에 의해 제공되는 표준 기능이다. 2. FTP는 호스트 간에 두 개의 연결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다른 클라이언트 서버 응용들과 다르다. 하나의 연결은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고, 또 다른 하나는 명령과 응답 등의 제어 정보를 위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제어와 데이터 전송의 분리는 FTP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3. FTP는 두개의 잘 알려진(well-known) TCP포트를 사용한다. 포트 21번은 제어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포트20번은 데이터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 FTP 로그인 .. 2022. 6. 24. TCP/IP 는 무엇인가 , 개념 정리 > 1. TCP/IP는 현재의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그룹이다. 이는 상호 작용하는 모듈로 이루어진 계층적 프로토콜인데, 각 모듈은 특정한 기능을 제공하낟. 2. 계층적이라는 말은 각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1개 이상의 하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지원을 받는다는 의미이다. 3.원래 TCP/IP 프로토콜 그룹은 하드웨어에 설치된 4개의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정의되었다. 하지만 현재 TCP/IP는 5계층 모델로 간주된다. [[ 1. 물리 계층 ]] 1. 응용,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에서의 통신은 논리적이고 물리적 계층 통신은 물리적이다. 2. 간단하게 호스트-대-라우터, 라우터-대-라우터, 라우터-대-호스트만을 보는데, 교환기도 물리적 통신에 포함되어 있다. 3. 데이터.. 2022. 6. 22. OSI 7 Layers 네트워크는 무엇인가 1. 개요 (1). 데이터 통신 1) 프로토콜 a).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신뢰성 있게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 정보의 송/수신자 측 또는 네트 워크 내에서 사전에 약속된 규약 또는 규범이다. b). 주로 송신자측에서 수신자 측을 호출하여 연결하는 과정, 통신회선에서의 접속방식, 통신회선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형태, 오류 발생에 대한 제어, 송/수신자 측 간의 동기방식 등에 대한 약속을 포함하고 있다. a). 프로토콜은 무엇을 , 어떻게 그리고 언제 통신할 것인가를 규정한다.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는 구문과 의미 그리고 타이밍이다. b). 구문(syntax): 구문은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을 가리키며,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ex) 간단한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처음 8비트는 .. 2022. 6. 21. 이전 1 2 3 4 5 6 7 다음 LIST